최근 환경영향평가라는 말은 일반 대중들에게도 널리 알려진 단어가 되었다. 뉴스를 보아도 아나운서가 '환경영향평가'라는 단어를 언급하는 경우가 매우 빈번해졌다. 그만큼 이제 환경에 대한 부분은 우리가 생활하는 부분, 개발하는 부분에서 뗄 수 없는 매우 중요한 분야가 되었다. 그렇다면 이러한 환경영향평가는 조경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을까? 그런 생각을 해본적은 없는가? 일단 환경영향평가가 무엇인지 알아보자.
'환경영향평가'란 무엇인가?
환경영향평가(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는 제안된 프로젝트나 개발이 실행되기 전에 환경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평가하는 과정이다. EIA의 목적은 프로젝트의 잠재적인 환경 및 사회적 영향을 식별, 예측 및 평가하고 그러한 영향을 완화 또는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EIA 프로세스는 제안된 프로젝트나 개발이 환경과 사회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고려하여 철저하고 객관적으로 평가되도록 설계된 여러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단계는 국가마다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다음의 과정을 포함한다.
- Screening : EIA 프로세스의 첫 번째 단계는 제안된 프로젝트 또는 개발에 완전한 EIA가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설계된 심사이다. 심사 과정에는 프로젝트가 환경적 또는 사회적으로 중대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지 판단하기 위한 사전 평가가 포함된다.
- Scoping : 일단 완전한 EIA가 필요하다고 결정되면, 다음 단계는 범위 지정이다. 범위 지정에는 EIA에서 다룰 주요 문제와 잠재적 영향을 식별하는 작업이 포함된다. 이는 지역 사회, 정부 기관 및 기타 이해 당사자를 포함한 이해 관계자와의 협의를 통해 이루어진다.
- Baseline data collection : EIA 프로세스의 다음 단계는 프로젝트 영역의 환경 및 사회 조건에 대한 기본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이다. 이 데이터는 제안된 프로젝트의 잠재적 영향을 평가할 수 있는 기존의 환경 및 사회적 조건을 설정하는 데 사용된다.
- Impact assessment : 영향 평가는 제안된 프로젝트의 잠재적인 환경 및 사회적 영향을 확인하고 평가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에는 직간접적인 영향뿐만 아니라 해당 지역의 다른 프로젝트나 활동과 결합하여 프로젝트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적적인 영향도 고려해야 한다.
- Mitigation measures : 잠재적 영향을 확인하고 평가한 후 다음 단계는 그러한 영향을 최소화하거나 제거하기 위한 완화 조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완화 조치에는 프로젝트 설계 또는 위치의 변경, 영향을 줄이기 위한 기술의 사용 또는 모니터링 및 관리 계획의 이행이 포함될 수 있다.
- Public consultation : EIA 프로세스 전반에 걸쳐 이해관계자와의 공개 협의 및 참여가 필요하다. 이는 의사결정 과정에서 영향을 받는 지역사회와 다른 이해관계자들의 우려와 의견이 고려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 Review and decision making : EIA 프로세스의 마지막 단계는 검토 및 의사 결정 단계이다. 여기에는 EIA 보고서를 검토하고, 결과와 권고 사항을 고려하며, 제안된 프로젝트를 승인 또는 거부할지 또는 특정 조건에 따라 승인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전반적으로 EIA 프로세스의 목적은 잠재적인 환경 및 사회적 영향을 고려하여 제안된 프로젝트 또는 개발이 철저하고 객관적인 방식으로 평가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 프로세스는 의사결정자가 제안된 프로젝트의 이점과 잠재적인 부정적 영향 사이의 균형을 유지하고 중대한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최근 전문자격중에 환경영향평가사가 매우 각광을 받고 있다. 미래가치가 그만큼 큰 자격시험이라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환경은 지금까지보다 앞으로가 훨씬 더 중요하고 큰 의미를 가질것이 분명해 보인다. 이러한 환경의 영향을 평가하는 환경영향평가사는 앞으로 그 쓰임이 지금보다 많아질 것이다.
'조경의 이해 > 조경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송(둥근소나무), 곰솔(흑송,해송), 방크스소나무 (0) | 2023.03.12 |
---|---|
센트럴파크에 대해서 (0) | 2023.03.08 |
편백나무, 화백나무 (0) | 2023.03.06 |
영국조경 이해하기(영국 조경의 역사) (0) | 2023.03.05 |
잣나무, 스트로브잣나무, 리기다소나무 (0) | 2023.03.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