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경의 이해/조경 일반51

무궁화에 대하여 우니라나의 나라꽃이 무궁화 라는건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모두 알고있을것이다. 무궁화 꽃도 청소년이나 성인이라면 거의 다 구별이 가능 하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재미있는 이야기를 들었던 기억이 있다. 군인중에 한 장교가 방송인가 유튜브에서 했던 말이다. 우리나라 꽃이 무궁화라는 건 모두가 다 잘 아는 사실이다. 그러나 꽃이 피기 전의 무궁화 나무를 보고 이것이 무궁화 나무인지 인지하는 장교가 별로 없는것 같다는 말을 하며 조금 아쉬움을 드러낸 바 있다. 사실 조경이나 임학을 전공한 학생도 가끔은 꽃피기 전의 무궁화나무를 구별하지 못하는 경우는 어렵지 않게 마주할 수 있는 아쉬운 현실이다. 무궁화는 그 꽃의 아름다움 뿐만아니라 조경적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가치가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물론 벌레가 많아 병해충관리.. 2023. 5. 28.
조경수(모감주나무, 보리수나무, 말발도리) 모감주나무라고 들어 보았는가? 아주 흔하게 활용되는 조경수는 아니지만 가끔 한번씩은 들어보았거나 자격 공부를 할떄는 들어보았을것이다. 그 수형이나 잎의 모양이 자연스러워 생태적인 요소로 활용될 수 있는 수종이라고 생각한다. 그 다음으로는 보리수나무도 있는데 이또한 그렇게 흔하게 활용되거나 자주 거론되는 수목은 아니라서 조경을 처음 접하는 사람들에게는 다소 생소한 수종일 수 있겠다. 마지막으로 말발도리는 흰꽃이 아름다운 관목으로 위에서 소개한 모감주나무나 보리수나무에 비해서는 다소 자주 활용되는 관목 수종으로 조금은 더 친숙한 수종일 수 있겠다. 1. 모감주나무 모감주나무의 영어이름은 'Goldenrain tree'이고 학명은 'Koelreuteriapaniculata' 이다. 염주나무라는 별명을 가지고 .. 2023. 5. 28.
한국의 야생화 1탄 보통 한국의 야생화라고 하면 이름이 생소한 꽃들을 많이 떠올릴 것이다. 그러나 야생화의 의미가 말그대로 야생의 꽃으로 우리나라 산과 들에서 볼 수 있는 친근하고 친숙한 이름의 야생화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 보고자 한다. 산수유 산수유는 초봄에 작고 밝은 노란색 꽃을 피우는 낙엽성 관목이다. 특히 가을에 익는 활기찬 붉은 열매 때문에 소중히 여겨진다. 그 과일은 전통적인 한국 요리에 사용되고 약효가 있다고 알려져있다. 녹두 녹두는 흔히 광두 또는 파바 콩으로 알려져 있으며, 한국이 원산지인 꽃식물이다.식용 콩을 포함한 길고 녹색의 꼬투리에 자리를 내주는 흰색 또는 보라색 꽃송이를 생산한다. 녹두는 한국 농업에서 중요한 작물이다. 아주가 나발풀이라고도 불리는 아주가는 짙은 파란색 또는 보라색 꽃을 가.. 2023. 5. 18.
한국의 조경 한국의 조경하면 어떤것이 제일먼저 떠오르는가? 옜 궁궐정원이 될수도 있고 오래된 절의 정원, 혹은 뛰어난 학자들이 제자들을 가르치면 서원의 정원 등이 먼저 떠오를 것이다. 한국 조경의 특징 한국의 조경은 전통적인 한국 정원 디자인 원칙과 한국의 자연 경관에 영향을 받은 광범위한 관행과 스타일을 포함한다. 고요한 정원, 공원, 도시의 녹색 공간을 조성하는 것이든, 한국의 조경은 자연과 문화 미학의 조화로운 조화를 반영한다. 한국 전통 정원 "서원" 또는 "서중"으로 알려진 전통적인 한국 정원은 사람이 만든 구조물과 자연 요소 사이의 균형을 강조한다. 종종 정자, 연못, 다리, 그리고 꼼꼼하게 손질된 식물과 같은 요소들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 정원의 디자인 원칙은 자연의 본질을 포착하고 명상과 사색을 위한 .. 2023. 5.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