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솔나방(송충이)
솔나방은 한국, 일본, 중국, 시베리아에 분포하고 있고, 곰솔, 가문비나무, 리기다소나무, 소나무, 전나무, 잣나무, 히말라야시다에 가해 한다. 나비목 솔나방과에 속하는 곤충이다. 날개 편 길이는 50~90mm이다. 개체 간의 크기 및 앞날개의 무늬에 변이가 많다. 솔송나방과 비슷하나 크기는 작다. 수컷의 더듬이 빗살은 길고 암컷은 짧다. 빛깔의 변이가 심하나 대부분 바탕색은 다갈색 또는 흑갈색이며 무늬는 수컷보다 암컷이 선명하다. 회백색, 황갈색, 흑갈색 등 색채의 변이가 많고 앞날개의 중앙부에 짙은 색의 넓은 띠가 있으며 그 외연에 백색의 파상선이 있다. 연 1회 발생한다. 월동한 유충은 4월에 월동처에서 나와 솔잎을 먹고 자라면서 3회의 탈피를 거쳐 8령충이 된다. 노숙 유충은 7월 초, 중순에 솔잎 사이에서 실을 토하여 고치를 만든다. 유충을 보통 송충이라고 하며 소나무의 대표적인 해충이다. 한반도 전역에 분포하며 국외에는 일본, 중국, 러시아, 유럽에 넓게 분포한다.
방제방법은 다음과 같다.
애벌레를 포살하거나 접촉성 살충제 메프수화제를 뿌려준다. 성충은 광선에 유인되므로 유아등을 설치하면 방제에 유리하다. 애벌레 밀도를 줄이는 방법으로 잠복소를 설치하면 월동하려는 애벌레를 유인하여 제거할 수 있다. 잠복소 설치는 지상 1m높이의 수간에 애벌레가 들어갈 수 있도록 느슨하게 묶는데, 다음해 2월 말경에 수집하여 처리한다. 천적으로 송충알좀벌은 알에 기생하고, 고치벌과 맵시벌은 애벌레나 번데기에 기생한다.
2. 텐트나방(천막벌레나방)
성충의 몸길이는 암컷이 20mm, 수컷이 18mm 정도이며, 날개를 편길이는 암컷이 40mm, 수컷이 35mm 정도이고 암수의 빛깔이 다르다. 수컷은 황갈색이고 앞날개의 중앙에 2개의 갈색선이 있으며 중간은 그 빛깔이 약간 진하다. 암컷은 담등색이고 앞날개의 중앙부는 적갈색의 넓은 띠가 있다. 알은 직경이 0.8mm 정도인 타원형이고 회백색이다. 유충의 몸길이는 45mm 정도이며 몸마디에 긴 털이 많이 나있고 머리는 암회청색이며 몸은 회청색이고 검은 점이 산재해있다. 유충이 가지의 갈라진 부분에 거미줄로 천막을 치고 모여 살면서 낮에는 그 속에서 쉬고 밤에 나와서 잎을 식해한다.
때때로 대발생하여 벚나무 가로수 등에 큰 피해를 주는 경우가 있다. 우리나라에서의 발생기록은 1936년과 37년에 경기도 지방에서 대발생하였고 1971년에는 경기, 강원, 충남북 일원에서, 1990년에는 경기도 김포, 강화 등 서해안 지방의 참나무림에 대발생한 바 있다. 연 1회 발생하고 알로 월동한다. 4월중·하순에 부화하며 부화유충은 실을 토하여 천막모양의 집을 만들고 낮에는 그 속에서 쉬고 밤에만 나와 식해한다. 4령기까지는 모여 사는 생활을 하고 5령기부터는 분산하여 가해한다. 6월 중순경 노숙한 유충은 나뭇가지나 잎에 황색의 고치를 만들고 번데기가 된다. 번데기기간은 약 2주이며 6월 하순에 성충으로 우화하고 주로 밤에 가는 가지에 반지모양으로 200∼300개의 알을 낳는다.
대발생한 때에는 한 나무를 다 먹고 나면 다른 나무로 이동하여 가해한다.
방제방법은 다음과 같다.
생물적 방제
- 천적으로는 먹수염납작맵시벌, 독나방살이고치벌, 황다리납작맵시벌, 그멜린납작맵시벌, 왕병대벌레, 무늬수중다리좀벌, 긴등기생파리, 송충잡이자루맵시벌, 검정다리꼬리납작맵시벌, 왕침노린재, 오렌지다리납작맵시벌, 검정무늬납작맵시벌, 검정머리기생파리, 담흑납작맵시벌 등을 보호한다.
- 그 외에 박새, 찌르레기 등 포식성 조류와 병원미생물을 보호한다.
화학적 방제
- 사용가능한 농약 정보는 농촌진흥청에서 운영하는 농약정보서비스(pis.rda.go.kr)에서 기주식물, 병해충명 등을 검색하여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물리적 방제
- 겨울에 난괴가 붙어있는 가지를 채취 소각한다.
- 모여 사는 어린유충기에 벌레집을 제거하거나 솜방망이불로 태워죽인다.
3. 벚나무깍지벌레
벚나무깔기벌레는 한국, 일본, 중국, 대만, 미국(하와이 등)에 분포한다. 기주식물로는 복숭아나무, 나두나무, 개나리, 살구나무, 사과나무, 벚나무, 광나무, 느티나무 등 그 수종이 다양하다. 암컷 성충의 깍지길이는 2.0∼2.5mm로 둥글며 백색∼회백색이다. 수컷 깍지길이는 1mm로 백색이며 가늘다. 몸은 황색∼황갈색이며 밑판에 비해 머리와 가슴이 크다. 밑판은 세모꼴에 가깝다. 나무줄기나 가지에 모여 살면서 흡즙 가해하며 고약병을 유발 시킨다. 피해가 심한 단목은 줄기에 솜을 붙여 놓은 것처럼 보인다. 연 2∼3회 발생하며 성충으로 월동한다. 4월 중순부터 산란을 시작하며 제 1, 2, 3세대 약충은 각각 5월 중순∼7월 중순, 8월 하순에 출현한다.
방제방법은 다음과 같다.
생물적방제
- 포식성 천적인 무당벌레류, 풀잠자리류, 거미류 등을 보호한다.
화학적방제
- 이미다클로프리드 액상수화제(8%) 2,000배액 또는 메티다티온 유제(40%) 1,000배액을 10일 간격으로 2회 살포한다.물리적방제
- 피해가지와 줄기를 제거하여 소각한다.
- 밀도가 낮거나 발생량이 적을 때는 면장갑이나, 헝겊으로 문질러 죽인다.
'조경의 이해 > 수목 병충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쭉류 갈색무늬병, 철쭉류 떡병, 철쭉류 잎녹병 (0) | 2023.02.22 |
---|---|
토양적 요인에 의한 수목병(건조, 과습) (0) | 2023.02.18 |
미국흰불나방, 벚나무모시나방, 회양목명나방 (0) | 2023.01.29 |
수목병충해(전염성 병과 비전염성 병) (0) | 2023.01.08 |
수목병충해(해충의 분류) (0) | 2022.12.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