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경의 이해/수목 병충해

우리나라의 수목 병충해

by 행복한 세컨라이프 2023. 3. 11.

수목병리학에서 많이 다루는 수목 병충해에 대한 전반적인 부분을 가끔 포스팅 하고있는데, 오늘은 우리나라의 수목병충해에 대해서 한번 포스팅해 보려고 한다.

 

우리나라 수목 병충해

한국은 그 나라의 생태계와 경제에 필수적인 많은 종류의 나무들을 포함하여, 풍부한 자연 환경을 가진 나라이다. 하지만, 세계의 많은 다른 지역들과 마찬가지로, 한국도 나무를 손상시키거나 심지어 죽일 수 있는 다양한 해충들로부터 중대한 도전에 직면해 있다. 이 중에 한국서 주로 빈번히 발생하는 병충해에 대해서 알아보자.

- 소나무 재선충병
소나무 재선충병은 소나무재선충에 의해 발생하며 우리나라 소나무 숲에 큰 위협이 되고 있다. 이 병은 소나무톱니벌레에 의해 전파되며 몇 달 안에 감염된 나무를 죽일 수 있다. 선충은 나무의 수지를 먹고 나무의 수분과 영양분 수송 시스템을 방해한다. 결국, 바늘은 노란색으로 변하고, 그 나무는 결국 죽는다.

- 집시나방
집시나방(Lymantria dumb)은 참나무, 자작나무, 기타 단단한 나무의 잎을 먹는 침입종이다. 그 나방은 1990년대에 우연히 한국에 소개되었고 그 이후로 빠르게 퍼졌다. 나방은 숲 전체를 황폐화시켜 나무가 약해지고 다른 해충과 질병에 취약하게 만들 수 있다.

- 아시아긴뿔딱정벌레
아시아긴뿔딱정벌레는 딱딱한 나무의 껍질을 먹고 사는 침입종이다. 이 딱정벌레는 2000년대 초에 우연히 한국에 소개되었고 그 이후로 빠르게 퍼져나갔다. 이 딱정벌레는 물과 영양분 수송 시스템을 방해함으로써 나무를 죽일 수 있다. 감염된 나무는 잎이 시들거나 누렇게 변하거나 나무껍질에 구멍이 생길 수 있다.

- 참나무말벌
참나무말벌은 참나무의 도토리를 먹는 해충이다. 그 말벌은 1990년대에 우연히 한국에 소개되었고 그 이후로 빠르게 퍼져나갔다. 말벌은 도토리 생산을 줄일 수 있어 많은 종의 조류와 포유류가 도토리를 먹이로 의존하고 있어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점박이 연등파리
점박이등파리는 나무와 식물의 수액을 먹고 사는 침입종이다. 그 곤충은 2000년대 초에 우연히 한국에 소개되었고 그 이후로 빠르게 퍼져나갔다. 이 곤충은 영양분 수송 시스템을 방해함으로써 나무를 약화시킬 수 있고 과일 작물에 피해를 입힐 수도 있다.

- 에메랄드 애쉬 보어
에메랄드 애쉬보어는 재목의 껍질을 먹고 사는 침입종이다. 이 딱정벌레는 2000년대 초에 우연히 한국에 소개되었고 그 이후로 빠르게 퍼져나갔다. 이 딱정벌레는 물과 영양분 수송 시스템을 방해함으로써 나무를 죽일 수 있다. 감염된 나무는 잎이 시들거나 누렇게 변하거나 나무껍질에 구멍이 생길 수 있다.

- 진딧물
진딧물은 나무와 식물의 수액을 먹고 사는 작은 곤충이다. 그들은 영양분 수송 시스템을 방해함으로써 나무를 약화시킬 수 있고 또한 바이러스와 다른 것들을 전염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병충해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방법들이 주로 이용되어 왔다.

 

예방책: 건강한 나무를 올바른 위치에 심고 정기적인 물주기, 수정, 가지치기 등 적절한 관리를 제공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나무를 건강하고 스트레스 없이 유지하는 것은 해충에 덜 취약하게 만들 것이다.

화학 처리: 만약 해충의 개체수가 많고 다른 방법들이 실패한다면, 해충을 통제하기 위해 살충제나 살균제가 필요할 수 있다. 특정 해충을 대상으로 하는 제품을 선택하고 라벨의 지시를 주의 깊게 따르는 것이 중요하다.

 

그외에, 가지치기, 죽거나 병든 가지 제거, 적절한 위생과 같은 적절한 나무 유지 관리 관행은 해충의 수를 줄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낙엽, 고사목, 그리고 다른 잔해들을 제거함으로써 깨끗한 정원을 유지하는 것은 해충들이 번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나무 해충을 방제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애초에 해충이 번식하지 못하도록 막는 것이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정기적인 모니터링과 조기 개입은 해충 개체 수를 통제하고 나무의 건강을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사실 병충해는 공부를 하면서 그 예방이나 치료를 위해 어렵곡 이숙하지 않은 약제의 이름과 비율계산들을 공부해야해서 조금 공부하기가 어렵고 까다로운 부분이 있는 분야이기는 하지만 조경 목적물의 유지관리를 위해서는 반드시 알아야 하는 부분이다.

댓글